반응형

자연관광 136

[생태관광정보] 경상북도 성보예술촌

성보예술촌주소 :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상무로 377연락처 : 054-555-0001 (성보촌)소개 : 성보촌은 ‘옛것이 새 것이다’라는 설립정신으로 세워졌다. 경북 문경시 호계면 영강변 1만 2천여 평의 부지에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각종 전시관과 수련 및 단체행사에 적합한 시설을 제공하고 있다. 회사 수련회 및 야유회, 전국 각지의 어린이집, 학원, 학교, 동호회 등에서 방문했다. YTN, KBS, 조선일보, 중앙일보에 성보촌이 소개되었다. * 문의 : 054-555-0001 * 개장일 : 이용시간 09:00 ~ 18:00 * 관련 홈페이지 : http://www.sungbo.net/ ◎이용안내 - 이용요금 : 체험은 현지사정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으므로 전화문의 요망 - 화장실 : 있음(남..

생활TIP 2020.11.23

[생태관광정보] 제주도 쌍용굴

쌍용굴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한림로 300연락처 : 064-796-0001 (한림공원)소개 : 쌍용굴은 황금굴, 소천굴, 만장굴과 더불어 제주도의 대표적인 용암동굴이다. 동굴의 길이는 약 400m, 너비 6m, 높이는 3m 정도의 규모이며, 250만 년 전 한라산 일대의 화산이 폭발하면서 협재굴과 함께 생성되었다. 용암동굴이자 석회동굴의 특징이 복합된 2차원적인 동굴이라는 점이 특이하며, 그 일대가 모래와 조개껍질이 섞여있는 패사층으로 되어 있다. 동굴 내부에는 석회동굴의 특징인 석순과 종유석이 곳곳에 기둥처럼 즐비해 있어 신비한 광경을 연출한다. 동굴 벽면에는 석회분이 덮여있어 마치 하나의 거대한 벽화가 새겨져 있는 듯 웅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동굴 내부의 온도는 연중 내내 17~18..

생활TIP 2020.11.22

[생태관광정보] 제주도 협재굴

협재굴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한림로 300연락처 : 064-796-0001 (한림공원)소개 : 제주도의 대표적인 용암동굴로, 동굴의 길이는 약 200m, 너비 10m, 높이는 5m 정도의 규모이며, 250십만년 전 한라산 일대의 화산이 폭발하면서 생성되었다. 동굴 내부에는 천장에서 뻗어 나온 석종과 마치 바닥으로부터 솟구쳐 나온 듯이 보이는 석순 등이 신비로운 광경을 연출하며, 석종과 석순이 만나 하나의 기둥을 이루는 종유석이 기괴하면서 아름답다. 동굴 내부의 온도는 연중 내내 17~18℃를 유지하여 한여름의 이색적인 피서지로 각광을 받고 있고, 협재굴은 천연기념물 제 236호로 지정되어 있고, 페루의 돌소금동굴, 유고의 해중석회동굴과 더불에 세계 제3대 불가사의 동굴로 꼽힐만큼 유명한 곳..

생활TIP 2020.11.21

[생태관광정보] 부산 몰운대

몰운대주소 : 부산광역시 사하구 몰운대1길 14연락처 : 051-220-4127 (다대포해변공원관리센터)소개 : 약 8천만년 전 백악기 말에 쌓인 하부다대포층과 그 후 부산지역 지각의 변형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명소이다. 과거 ‘몰운도(沒雲島)’ 라는 섬이 었으나 낙동강에서 공급된 모래가 쌓이면서 육지와 연결된 육계도의 독특한 지형을 나타낸다. 다양한 단층과 단층암, 암맥, 광맥, 마그마성 및 쇄설성 암맥, 쳐트편, 사층리, 흔적화석, 과거 지진기록 등의 다양한 지질특성을 간직한 지질학의 교과서라 불릴만한 명소이다. 또한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 몰운대는 우거진 송림과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해안절경이 멋진 경관을 연출한다. 해안산책로를 따라가면 철썩이는 옥빛 바다를 가장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다. 해가..

생활TIP 2020.11.21

[생태관광정보] 경상남도 창녕군 우포늪

창녕군 우포늪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우포늪길 220연락처 : 055-530-1553 (우포늪관리사업소)소개 : 창녕 우포늪은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에서 유어면, 대합면에 걸쳐 있는 늪지성 호수로 면적이 231만4,049㎡(약 70만 평)에 달하는 국내 최대의 자연 늪이다. 우포·목포·쪽지벌·사지포 등 4개 늪으로 구성된 우포늪은 희귀 동·식물은 물론 갖가지 생물이 서식하는 ‘살아 있는 자연사 박물관’이다. 늪에는 환경부가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는 가시연꽃 등 340여 종의 식물(우리나라 식물 종류의 약 10%)과 천연기념물 제205-2호인 노랑부리저어새를 비롯해 쇠물닭·청둥오리·기러기 등 62종의 조류,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어종인 긴몰개·참몰개·돌마자 외에도 붕어·피라미·..

생활TIP 2020.11.20

[생태관광정보] 전라북도 전주 한옥마을

전주 한옥마을주소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99연락처 : 063-282-1330 (전주한옥마을 관광안내소)소개 : 전주시는 2016년 대도시권에서는 유일하게 시 전역이 슬로시티가 됐다. 2010년에는 전주 한옥마을만이 슬로시티 인증을 받았다. 전주 한옥마을은 풍남동과 교동 일대에 한옥이 600여 채나 밀집되어 있는 곳이다. 고려시대에 전주읍성을 중심으로 한벽당과 오목대 등이 지어졌고, 그 주위로 옥류동, 자만동과 같은 마을이 자연스럽게 형성돼 현재 한옥마을의 뿌리가 되었다. 한옥마을이 지금의 형태를 갖추게 된 것은 1930년대를 전후해서다.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 이후 늘어나는 일본인 주택에 대한 적대감과 민족적 자긍심이 이 일대에 팔작지붕의 한옥촌을 형성케 한 것이다. 전주 한옥마을에..

생활TIP 2020.11.20

[생태관광정보] 전라북도 덕유산국립공원

덕유산국립공원주소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구천동1로 159연락처 : 063-322-3174 (덕유산국립공원사무소)소개 : 덕유산국립공원은 전라북도 무주와 장수군, 경상남도 거창과 함양군 등 2개 도 4개 군에 걸쳐 있다. 향적봉(1,614m)을 중심으로 1,300m 안팎의 장중한 능선이 남서쪽을 향해 장장 약 30km를 달리고 있으며, 주요 봉우리를 기점으로 8개의 긴 계곡이 동서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향적봉 서쪽 중봉에서 발원해 13개의 대(臺), 10여 개의 못, 20개의 폭포 등 기암절벽과 여울들이 이어지는 구천동 계곡은 길이가 나제통문에서부터 북덕유산 턱 아래 백련사까지 장장 70리 길에 달하는데 예로부터 선인들이 이름 붙인 덕유산 33비경으로 꼽힌다. ‘덕이 많은 너그러운 모산’이라는 ..

생활TIP 2020.11.20

[생태관광정보] 경상북도 궁터산촌생태체험마을

궁터산촌생태체험마을주소 : 경상북도 문경시 농암면 궁터길 181연락처 : 054-571-8395 (궁터산촌생태마을회)소개 : 낮에는 너무도 고요해 찾아드는 산새와 벗하고 밤이면 머리맡으로 별들이 아름답게 펼쳐지고 별똥별이 떨어지는 곳, 그래서 떠날 때 더없이 아쉬움이 남는 마을이 있다. 문경시 궁터마을이 바로 그곳. 32번 국도를 빠져 나와 구불구불 덜컹이는 비포장 도로를 달리면 찾을 수 있는 곳으로 후백제 견훤왕의 아버지 아자개의 고향이며, 견훤왕이 어린 시절 호연지기를 기르던 곳이다. 마을 뒷산에는 원효대사와 의상대사의 수행처가 자리한 신성한 터이다. * 문의 : 054-571-8395 * 관련 홈페이지 : http://www.gungteo.com/ ◎이용안내 - 화장실 : 있음(남녀구분) - 장애인..

생활TIP 2020.11.19

[생태관광정보] 전라남도 순천시낙안면꽃마차마을

순천시낙안면꽃마차마을주소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금산리연락처 : 070-7795-7604 (순천꽃마차마을)소개 : 넉넉한 인정과 훈훈한 인심을 가지고 있는 꽃마차 마을은 금전산이 마을을 병풍처럼 감싸안은 지형으로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다. 또한 훼손되지 않은 돌담길과 옛 가옥이 잘 보존되어 옛 정취가 물씬풍기며 마을진입로에는 철쭉과 봉선화가 반겨주고, 400년 된 당산나무 옆 정자에는 편안한 안식처로 아름다운 쉼터가 자리하고 있다. 마을 야산에는 너구리, 오소리, 산토끼, 딱따구리, 뻐꾸기, 꾀꼬리, 등의 여러새들과 여치, 방아깨비, 메뚜기 등 여러곤충들과 동물들이 있어 아이들이 맘껏 자연을 관찰 할 수 있다. * 문의 : 070-7795-7604 * 관련 홈페이지 : http://www...

생활TIP 2020.11.19

[생태관광정보] 인천 영종도

영종도주소 :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서로 100연락처 : 032-760-6482 (인천광역시 중구 관광진흥실)소개 : 인천광역시 중구에 속하는 영종도는 우리나라에서 일곱 번째로 큰 섬이다. 원래는 제비가 많다 하여 ‘자연도(紫燕島)’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영종도는 간석지가 발달하여 간조 때면 주위의 운렴도, 용유도와 이어진다. 이처럼 넓은 간석지는 자연생태계 보존에도 유리하게 작용한다. 영종도는 매년 겨울이면 민물도요가 찾아드는 철새 도래지로, 특히 영종도 누남리의 해안은 청다리도요·큰뒷부리도요·중뒷부리도요·재물떼새 등 약 15종의 바닷새가 서식한다. 이곳의 주요 농산물은 고추·딸기·보리·콩·고구마·쌀·마늘 등이며, 염전과 굴, 백합 등의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영종도에는 자연생태계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

생활TIP 2020.11.19
반응형